블루벨벳(Blue Velvet)은 1986년 데이비드 린치(David Lynch) 감독의 작품으로, 미국의 작은 도시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린치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블랙 코미디와 스릴러, 드라마 요소를 조합하여 매우 독특하고 재미있는 영화입니다.
블루벨벳은 린치 감독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술적인 영상미와 시적인 분위기, 그리고 비현실적인 요소들이 매우 독특하고 미스테리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또한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모든 행동과 대사들은 매우 의미심장하며, 각각의 인물들은 린치 감독의 세계관과 철학을 나타냅니다.
이 영화는 미국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며, 많은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또한 수많은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지며, 영화 분석 학계에서도 많이 연구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블루벨벳은 불안감과 공포, 욕망과 선정성 등의 감정들을 복합적으로 다루면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어둠과 타락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를 시도하는 영화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린치 감독의 유일무이한 세계관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줄거리-
영화의 주인공인 제프리는 블루벨벳에서 살고 있는 청년입니다. 어느 날, 그는 아버지의 선물로 카메라를 받고, 도시에서 사진을 찍으러 다니기 시작합니다. 그러던 중, 그는 아름다운 여성인 도로시를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그녀와 함께 있을 때, 그는 마치 동화 속에 들어온 것처럼 기분 좋은 시간을 보냅니다.
하지만 어느 날, 그는 도로시의 아버지인 프랭크와 함께 있던 도로시가 실종된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그는 이 사건의 수사를 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는 블루벨벳이라는 작은 도시에는 그동안 숨어있던 수많은 비밀과 범죄가 있음을 알게 됩니다.
영화 "블루벨벳"은 성희롱과 폭력적인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어떤 이들로부터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는 당시에는 독특한 분위기와 카메라 앵글, 뛰어난 음악, 그리고 인간 본성에 대한 진지한 탐구 등으로 인해 많은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블루벨벳"은 영화사의 걸작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미스터리와 스릴러 요소를 가미한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를 즐길 수 있는 작품입니다.
영화 속 미술-
영화 "블루벨벳"에서는 다양한 미술작품들이 사용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살인사건의 현장에서 찍힌 '영혼의 조각'입니다.
'영혼의 조각'은 마치 살인자의 정신 상태를 반영하는 듯한 비틀어진 형태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는 살인자가 인간성을 잃고, 상상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현실적이지 않은 세계에 빠져들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작품은 그 자체로도 예술적인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영화에서는 제프리가 사용하는 카메라도 미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프리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도시에서 사진을 찍는데, 이는 그가 주변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대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프리가 인간의 어둠과 속마음을 보여줄 때, 카메라의 미술적인 표현이 강조되어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깊게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영화에서는 블루벨벳 작은 도시에서의 일상적인 사물들도 미술적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제프리의 집에 있는 전등, 담배꽁초, 커피잔 등은 블루벨벳이라는 작은 도시에서의 일상을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미술작품으로서의 가치도 갖추고 있습니다.
총괄적으로, "블루벨벳"에서는 다양한 미술작품들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들 작품들은 영화의 분위기와 주제를 강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 영화를 볼 때, 미술적인 표현들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함께 느낄 수 있습니다.
영화 속 음악-
영화 "블루벨벳"의 OST는 데이비드 리치(David Lynch) 감독과 앤젤로 배떼맨테(Angelo Badalamenti) 작곡가의 협업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OST는 당시 대중음악 시장에서 굉장히 큰 인기를 끌면서, 영화음악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OST에서 가장 유명한 곡은 "Mysteries of Love"입니다. 이 곡은 조용하면서도 감성적인 멜로디와 함께,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 곡은 영화의 주인공인 제프리와 도로시의 관계를 나타내며, 두 사람 간의 감성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또한, "Blue Velvet"이라는 곡도 매우 유명합니다. 이 곡은 영화의 주제를 잘 반영하며, 약간의 재즈 요소를 더해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강조합니다. 이 곡은 영화의 타이틀과 함께 매우 인상적인 장면에서 사용되며, 영화를 본 후에도 귀에 계속 남아있는 인상적인 멜로디입니다.
또 다른 유명한 곡으로는 "In Dreams"가 있습니다. 이 곡은 거슬러 올라가는 멜로디와 함께, 약간의 비틀어진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 곡은 영화의 살인자 프랭크의 상상 속에서만 나타나는 여성인 '수상한 여인'과 관련된 장면에서 사용되며,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Angelo Badalamenti"의 블루벨벳 OST 수록곡:
Main Title
Night Streets / Sandy And Jeffrey
Frank
Jeffrey's Dark Side
Mysteries Of Love (Vocal By Julee Cruise)
Frank Returns
Mysteries Of Love (Instrumental)
Blue Velvet (Vocal By Isabella Rossellini)
Lumberton U.S.A. / Going Down To Lincoln
Akron Meets The Blues
Honky Tonk Part I / Gloria's Story
In Dreams (Vocal By Roy Orbison)
Love Letters (Vocal By Ketty Lester)
Mysteries Of Love (French Horn Solo)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라런- 톰 튀크베어, 1998 (1) | 2023.05.10 |
---|---|
매트릭스(The Matrix) 워쇼스키 자매, 1999 (0) | 2023.05.10 |
인셉션(Inception), 크리스토퍼 놀란, 2011 (0) | 2023.05.10 |
수면의 과학(La Science des reves, The Science Of Sleep), 미셸 공드리, 2005 (0) | 2023.05.09 |
시계태엽장치 오렌지(A Clockwork Orange), 스탠리 큐브릭, 1971 (0)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