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록키 호러 픽쳐 쇼(The Rocky Horror Picture Show), 짐 셔먼, 1975

by 일상의 운율 2023. 5. 12.


영화 '록키 호러 픽쳐 쇼(The Rocky Horror Picture Show)'는 1975년에 개봉된 미국의 뮤지컬 코미디 호러 영화입니다. 이 작품은 리처드 오브라이언(Richard O'Brien)이 기획하고 작사, 작곡한 뮤지컬 '록키 호러 쇼(The Rocky Horror Show)'를 영화화한 것으로, 고전적인 호러와 사이판 섹스 플롯, 다양한 음악과 춤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화는 높은 문화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오랜 기간 동안 컬트 클래식으로 사랑받아온 작품 중 하나입니다.
'록키 호러 픽쳐 쇼'는 브래드와 제네프의 결혼식 여행 도중 착한 젊은 커플이 잠시 쉬는 동안 로크키 호러 쇼를 운영하는 트랜실베이니아 성에 머물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립니다. 이 작품은 다양한 성 정체성, 성적 자유, 사회적 이변 등을 다루면서도 매우 유쾌하고 유쾌한 톤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또한, 작품은 실내 극장에서 상영 시 관객들이 함께 참여하며 대사를 외치고 춤을 추는 등의 상호작용을 하는 "록키 호러 픽쳐 쇼 경험"으로 유명하며, 이로 인해 관객들과의 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장르를 넘어선 컬트적인 대중적인 현상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록키 호러 픽쳐 쇼'는 음악과 춤, 호러 요소 등의 다양한 요소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으며, 비유적인 이야기와 섹시하고 괴상한 시각적인 요소들이 매력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 작품은 매력적인 캐릭터, 중독성 있는 음악, 화려한 비주얼 및 특수효과로 이루어진 스펙터클한 공연을 제공하며, 관객들에게 독특하고 재미있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영화 속 미술-
'록키 호러 픽쳐 쇼(The Rocky Horror Picture Show)'는 그 독특한 스타일과 비주얼로 유명한 작품이지만, 특정한 미술 작품이나 미술적인 요소는 크게 강조되지는 않습니다. 이 작품은 주로 음악, 춤, 코스튬, 세트 디자인, 비주얼 효과 등으로 특징지어지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작품 내에서 특정한 미술 작품이나 화풍을 강조하기보다는 고전적인 호러 영화와 B급 영화의 비주얼 요소를 모티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화에서는 매우 화려하고 독특한 코스튬과 메이크업, 그리고 캐릭터들의 비주얼적인 스타일이 큰 관심을 끕니다. 프랭크 N. 퍄터(타임 커리)의 섹시하고 고혹적인 복장, 메이지 마페트(리처드 오브라이언)의 색상이 강조된 메이크업, 리파(퍼시 넬슨)의 독특한 머리스타일과 화려한 의상 등이 그 예입니다.
세트 디자인 측면에서도 영화는 로크키 호러 쇼를 운영하는 트랜실베이니아 성의 내부와 외부를 상상력 넘치는 방식으로 구현하였습니다. 성의 내부는 매우 다양한 공간과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전적인 호러 영화에서 영감을 받은 디테일한 장식과 색상, 빛의 사용이 돋보입니다.
비주얼 효과도 작품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영화에서는 변신, 텔레포트, 특수 효과 등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를 사용하여 판타지적인 요소를 강조합니다. 이러한 효과는 작품의 팝 아트 스타일과 함께 더욱 독특한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일조합니다.

영화 속 음악-
'록키 호러 픽쳐 쇼'는 다양한 캐릭터와 노래로 구성된 매력적인 음악들이 특징입니다. 영화의 주요 곡들과 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Science Fiction/Double Feature": 영화의 오프닝 곡으로, B급 공포영화에 대한 오마주를 담은 곡입니다. 영화의 분위기를 잘 반영하며, 흥미를 끌고 기대감을 조성합니다.
"Time Warp":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로, 영화에서의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빠른 템포와 함께 춤과 함께 부르는 노래로, 관객들과 함께 참여하여 춤을 추는 장면이 유명합니다.
"Sweet Transvestite": 주인공 프랭크 N. 퍄터의 소개 곡으로, 그의 특이한 캐릭터와 성적인 매력을 강조합니다. 신비로운 분위기와 록 음악이 결합되어 매우 매력적인 곡입니다.
"Dammit Janet": 주인공 브래드와 제네프의 사랑을 노래하는 곡으로, 청량한 멜로디와 사랑스러운 가사가 인상적입니다.
"Touch-A, Touch-A, Touch Me": 주인공 제네프가 노래하는 곡으로, 그녀의 성욕과 욕망을 표현합니다. 유쾌하면서도 섹시한 분위기를 잘 나타내는 곡입니다.
"Hot Patootie – Bless My Soul": 에디의 곡으로, 역동적이고 로큰롤한 분위기를 지니며, 매우 화려한 곡입니다.
"Over at the Frankenstein Place": 주인공들이 프랭크 N. 퍄터의 성에 도착하는 과정을 노래하는 곡으로, 비주얼적인 효과와 함께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I Can Make You a Man": 프랭크 N. 퍄터가 자신의 창조물 로크키를 소개하는 곡으로, 강한 보컬과 힘찬 퍼포먼스가 돋보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곡들이 영화 내에서 사용되었으며, 모두 독특하고 매력적인 음악으로 영화의 분위기와 이야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감독에 관하여-
'록키 호러 픽쳐 쇼(The Rocky Horror Picture Show)'는 감독 짐 셔먼(Jim Sharman)에 의해 연출되었습니다. 짐 셔먼은 호주 출신의 감독으로, 뮤지컬과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였습니다.
셔먼은 그의 감독력을 통해 독특하고 특이한 작품들을 선보이며, 그의 작품은 현대적이고 대담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록키 호러 픽쳐 쇼'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그의 감독 스타일과 비주얼적인 취향을 대표하는 작품입니다.
짐 셔먼은 '록키 호러 픽쳐 쇼'에서 캐릭터들의 화려하고 비주얼적인 스타일과 특이한 분위기를 잘 구현하였습니다. 그의 연출은 고전적인 호러 영화와 B급 영화의 비주얼 요소를 참조하여 영화의 독특한 분위기를 조성하였으며, 음악과 춤, 코스튬, 세트 디자인 등을 통해 작품의 매력을 한층 더 높였습니다.
짐 셔먼은 '록키 호러 픽쳐 쇼'를 통해 대담하고 독특한 작품을 선보이며, 오랜 시간 동안 컬트적인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의 감독력은 이 작품을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만들어내고, 음악과 공연의 재미를 영화로 재해석한 형태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될 만한 작품을 탄생시켰습니다.